* KT의 와이브로 요금제에는 매달 요금을 지급하는 요금제와 선불제 요금제가 있다.
* 선불제요금에는 사용한 시간만큼만 요금만 지불하는 "시간요금제"
하루동안 무제한으로 쓸 수 있는 "일요금제"가 있다. 그러나..
* 선불제요금에는 사용한 시간만큼만 요금만 지불하는 "시간요금제"
하루동안 무제한으로 쓸 수 있는 "일요금제"가 있다. 그러나..
그 중 시간요금제를 소개하면.. (신형 와이브로 모뎀이 있다는 조건에서 가입이 가능함)
* 시간요금제 (기준 = 1시간당 1,000원 / 부가세 포함 / 프로모션 기간 중 가입비 2만원 면제)
- 가입은 10시간(1만원), 30시간(3만원), 50시간(5만원) 100시간(10만원) 단위로 가능하다.
- 또 소개조차 적어놓지 않은 조건이 있는데...
10시간 충전시 90일동안 소진해야하고, 90일이 지나면 남은 시간은 없어진다.
( 30시간 충전시 180일 / 50시간 충전시 365일(1년) / 100시간 충전시 365일(1년)이다.)
- 참고로 거의 항상 프로모션 기간이라 가입비는 면제라고 보면 된다.
기존의 와이브로 모뎀의 약정기간이 끝났거나, 이전에 쓰던 와이브로 모뎀이 있으면 가입이 가능하다. 단, 이번에 와이브로 서비스의 주파수를 바꾸어 예전 모뎀은 개통을 해 주지 않을 수도 있다.
(사용가능한 모델인지, 구형단말기로도 가입이 가능한지 유선전화 100번으로 확인해 보기 바란다.)
왜 유령인가 하면...
와이브로 요금제 페이지에 가면.. 링크
선불제 요금에 대한 소개가 없다. 그러나 아래와 같이 "자세히"라는 버튼을 누르면..
아랫쪽에 선불제 요금이라고 2가지 종류가 나온다. 두둥...
근데... 이 선불요금을 클릭해 보면..
어디에도 선불제 요금에 대한 소개가 없어진다. ( 흐..... 오싹합니다. @.@ )
지가 뭔 홍길동인지... 버린 자식인지..
[ 사족 ]
약정기간이 끝난 와이브로 모뎀이나 HSDPA모뎀들은 사실 쓸 데가 없습니다.
그러나, KT에서는 이러한 모뎀을 사용할 수 있게 선불요금제를 준비해 두고 있습니다.
1년전 쯤 사무실에 인터넷이 며칠간이나 불통되어서 업무조차 못 볼 뻔했는데, 와이브로 선불요금제로 간신히 업무를 본 적이 있습니다.
속도는 그다지 빠르지 않았지만, 그럭저럭 문서 보내기, 메일쓰기 등의 업무는 원활하게 처리 할 수 있었습니다.
웹서핑은 좀 느린 감이 있었구요. (광랜을 쓰고 있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홈페이지 들어가는 것이 갑갑했는데.. 하루 이틀 지나니 익숙해 지더군요.)
사실 몇년씩 약정걸고, 월 정액을 받는 것이 제공사의 입장에서야 좋겠지만, 기왕 이런 서비스를 만든 바에야 제대로 정보전달을 해 줬으면 합니다.
하긴 그것도,, 요즘 무제한 데이터요금제 + 테더링으로 와이브로 모뎀이 크게 와 닿지는 않습니다만,....
데이터 요금제 쓰시지 않고도.. 이렇게 충전해서 종량만큼만 쓸 수 있는 서비스가 있다는 것을 알리고자 두드려 봅니다. 그럼..
'[정보&사용기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] 좀비PC 예방법 : 내 컴퓨터가 "좀비PC"인지 알아보고, 치료하자. (2) | 2011.01.12 |
---|---|
[정보] KT 와이브로에 있는 유령같은 선불요금제 (종량과금) (2) | 2010.11.04 |
[정보] 가상PC(VMWARE)에서 안드로이드 2.2 프로요 설치하기 (0) | 2010.10.16 |
[사용기] 윈도우7에서 VMware로 Linux Mint 설치후 VirtulaBox로 다시 윈도우7을 설치하다. - OS 가상화 (3) | 2010.05.29 |
[서버] 아파치 웹서버 XAMPP 설정 - 가볍고 쉬운 XAMPP를 이용한 웹서버 구축 (1) | 2010.05.27 |
[서버] 윈도우서버로 마이그레이션 하기 - 들어가며 (스마일서브) (0) | 2010.05.19 |